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ervlet2

[동시성 이슈해결] HashMap보다는 ConcurrentHashMap을 쓰자! 인프런 강의를 듣던 중 회원 도메인 설계를 하다가 동시성 이슈 때문에 HashMap보다는 ConcurrentHashMap을 사용한다라고 배웠습니다. 과연 두 개의 차이점은 어떤 점 있는지, 각 각의 장단점을 깊게 파보고 싶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출처: https://javaconceptoftheday.com/hashmap-vs-concurrenthashmap-in-java/ 해외 문서를 찾아보다가 잘 정리되어 있는 문서를 발견하고 정리해보았습니다. HashMap과 ConcurrentHashMap의 차이점 1) Thread Safe 주요 차이점은 ConcurrentHashMap는 내부적 동기화 때문에 스레드가 Safe합니다. HashMap는 내부적으로 동기화되지 않고 스레드로부터 안전하지 않습니다. Has.. 2022. 1. 1.
서블릿의 라이프 사이클 클라이언트의 서블릿 요청 -> init(최초 한 번만 호출) -> service, doget, dopost (반복적 호출 가능) -> destory(마지막 한 번만 호출) init() -> 서블릿이 처음으로 요청이 되어 객체가 생성 될 때 호출되는 메서드 service() -> 클라이언트가 요청이 있을때마다 호출되는 메서드 doget() -> 클라이언트 요청할때 form의 method가 get 방식일 때 호출 dopost() -> 클라이언트 요청할때 form의 method가 post 방식일 때 호출 destroy() -> 서블릿 서비스의 종료 및 재시작, 서블릿 코드가 수정되었을 때 호출되는 메서드 2021.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