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라이언트의 서블릿 요청 -> init(최초 한 번만 호출) -> service, doget, dopost (반복적 호출 가능) -> destory(마지막 한 번만 호출)
init() -> 서블릿이 처음으로 요청이 되어 객체가 생성 될 때 호출되는 메서드
service() -> 클라이언트가 요청이 있을때마다 호출되는 메서드
doget() -> 클라이언트 요청할때 form의 method가 get 방식일 때 호출
dopost() -> 클라이언트 요청할때 form의 method가 post 방식일 때 호출
destroy() -> 서블릿 서비스의 종료 및 재시작, 서블릿 코드가 수정되었을 때 호출되는 메서드
반응형
'혼자 공부하는 것들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명 클래스하고 람다식은 어떤 상황일 때 사용해야할까? (2) | 2022.03.10 |
---|---|
[동시성 이슈해결] HashMap보다는 ConcurrentHashMap을 쓰자! (0) | 2022.01.01 |
맥북 자바 버전 변경하는 방법 (0) | 2021.12.10 |
JAVA) StringBuffer와 String의 차이점과 쓰는이유 (0) | 2020.12.06 |
JAVA) jlabel, swing으로 카페매출관리 제작(+MySql)데이터 (삽입,삭제,검색,수정 포함) (0) | 2020.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