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조분해할당1 [JS] 구조분해할당 js에서 자주 사용하는 구조분해할당을 정리해보려고한다.!! 구조 분해 할당 구문은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체하여 그 값을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표현식이다.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코드로 보면서 정리하는게 이해하기 빠르다. sungmin이라는 객체 안에 object의 값들을 다 넣어주고싶다. 그럴때 ...을 사용하면된다. ...은 객체안에있는 값들을 가져와서 넣어주는 기능을 하는 js의 특징이다. 이 방법을 통해 좀 더 쉽게 데이터를 다룰 수 있다. 다른 상황을 보자! caffee라는 객체 안에 음료정보와 가격정보가 들어가있다. 이것을 메뉴판에 넣어보고싶다. 이때 객체 안에 조건을 통해서 값을 넣을지 말지도 구조분해할당으로 해줄 수 있다. caffee라는 객체가 있으면 안에다가 값을 넣어주면된다.. 2021. 5.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