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ic Beanstalk을 사용하다가 용량이 꽉 찼다.
원인은 서비스의 로그 파일이 꽉 찼던 것
그래서 EC2와 연결된 볼륨의 크기를 올렸다.
프리티어 기준 AWS EBS는 30GB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 내용은 아래 설명서를 참조했다.
https://aws.amazon.com/ko/ebs/pricing/
고성능 블록 스토리지 – Amazon EBS 요금 – Amazon Web Services
범용 SSD(gp3) 볼륨의 볼륨 스토리지에 대해서는 해당 스토리지를 종료할 때까지 매월 프로비저닝하는 용량(GB)을 기준으로 요금이 청구됩니다. 모든 gp3 볼륨에는 프로비저닝된 IOPS 3,000(초당 입력/
aws.amazon.com
해당 EC2에 터미널로 들어가서 사용량을 확인해 보자
df -h
8GB를 할당하고 있는데 꽉 찼다.
EC2와 연결된 볼륨에서 수정버튼을 눌러 볼륨의 크기를 올린다.
수정될 때까지 기다리자!
수정 후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자
루트 볼륨이 16GB로 반영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가 쓰고 있는 /dev/xvda의 파티션인 /dev/xvda1은 아직 8GB로 그대로다.
파티션을 늘려주자
sudo growpart /dev/xvda 1
실패했다...
이유가 뭘까... 열심히 찾아봤다.
https://repost.aws/ko/knowledge-center/ebs-volume-size-increase
Amazon EBS에서 ‘No space left on device’ 오류 해결
Amazon Elastic Block Store(Amazon EBS) 볼륨 크기를 늘리려고 했을 때 파일 시스템에 남은 공간 없음 오류가 표시됐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repost.aws
공식 문서에 잘 나와있다. 이대로 진행했다.
정상적으로 파티션을 수정했다.
늘어난 모습을 볼 수 있다.
성공!
'혼자 공부하는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compose' is not a docker command. (1) | 2023.11.26 |
---|---|
[디자인패턴] Domain Model Pattern vs Transaction Script Pattern (0) | 2022.03.13 |
node.js & express.js 단단하게 설계하기 (0) | 2021.09.09 |
[Git] rebase와 merge의 차이점 (0) | 2021.08.28 |
Git-flow를 사용해보자! (2) | 2021.05.20 |
댓글